1. 교량계획 시 고려사항
: 교량계획에서는 노선의 선형과 지형, 지질, 기상, 교차물 등의 외부적인 제조건, 시공성, 유지관리, 경제성 및 환경과의 미적인 조화를 고려하여 가설위치 및 교량형식을 선정하여야 한다.
① 계획 시 고령사항
- 도로의 사용목적 충족
- 구조적 안전성과 경제성
- 외적제반조건(내구적)
- 주행안전성과 쾌적성
- 시공성과 유지관리성
- 미관
- 지역주민의 의견
- 계획목표에 부합하는 품질수준과 성능이 확보
- 건설기간 및 완공 후 친환경적이고 주변경관과의 조화
② 하부구조의 계획
- 하부구조는 하부공 구체와 기초공으로 한다.
- 구체 및 기초의 형식 선정은 상부구조의 형식과의 조화, 주변 환경과의 부합 등 교량 전체로서 교려한다.
- 시공성과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지지력과 침하 등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법을 선정한다.
③ 상부구조계획
- 외적 조건
- 교량 연장, 경간, 교대, 교각의 위치, 방향 및 다리밑 공간 등 기본적인 조건은 교차하는 도로, 철도 및 하천 관리자의 의사가 중요하므로 관리자와 충분히 협의한다.
- 안전성과 경제성
- 시공성과 유지관리
- 미관
2. 교량형식 선정
형식 결정
① 교량형식 선정의 기본방향
- 교량의 가설목적 및 기능을 만족하면서 생애주기 비용이 최소가 되도록 해야한다.
- 시공성이 우수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다.
-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교량의 상부구조 및 하부구조형식을 선정하는 것이다.
② 교량의 형식 선정과정에서 고려사항
- 교량의 가설 목적(기능)에 부합하는 형식
- 안전성과 시공성이 우수하고 계획된 도로 선형에 적합한 형식
- 생애주기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식
- 공사비가 유사할 경우에는 시공성과 조형미, 경관미가 우수한 형식
- 자동차 주행의 안정성 및 쾌적성을 좋게 하려면 구조적으로 상로교 형식이 좋고, 신축이음 장치가 적은 연속교가 좋다.
- 도심지에 가설되는 교량은 구조물 자체도 날렵한 느낌을 주는 형식이 좋으며 주위의 경관과 균형을 이루는 것도 중요하다.
경간 분할(경간 분할 시 고려사항)
① 미관을 고려한 경간 분할
- 연속교는 중앙경간을 측경간보다 크게 분할하며 안정감이 크게 됨
- 3경간 연속 구조일 때는 경간의 개략적 비율이 3 : 5 : 3, 4경간 연속 구조일 때는 3 : 4 : 4 :3이 비례적으로 우수함
- 교량길이가 길고 지형이 평탄할 때는 등경간이 좋음
- 접속교량과의 연결은 경간이 점점 변하여 조화되도록 분할해야한다.
② 하천 통과구간의 경간 분할
- 유속이 급변하거나 하상이 급변하는 지역에는 교각을 설치하지 않음
- 저수로 지역에서는 경간을 크게 분할
- 하천단면을 줄이지 않도록 하고 교각 설치로 인한 수위상승과 배수를 검토
- 유목, 유빙이 있는 하천, 하천 협소부에서는 교각수를 최소화
- 유로가 일정하지 않은 하천에서는 가급적 장경간 선택
③ 경제성을 고려한 경간 분할
-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단위길이당 건설비가 같거나 상부구조 공사비가 하부구조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적절함
- 기초지반이 불량할 때 장경간이 유리, 기초 지반이 양호할 때 짧은 경간이 유리
- 하저 지반이 불균일할 때는 각 구간별로 나누어 경제성을 검토한 후 경간을 분할해야함.
3. 상부구조형식의 선정
① 형식선정 방침
-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기능성, 시공성, 경제성, 장래유지관리 편의성 등을 고려해야 하고 주변경관과 조화되도록 경관미를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.
- 기본적으로 도로의 평면선형, 종단선형, 교차시설의 교차각, 다리밑 공간, 교량가설 여건을 고려해야 한다.
- 가설목적과 주변여건에 따라 경제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이냐, 경관미를 고려할 것이냐가 관건이 될 수 있다.
- 최근에 교량의 경제성보다는 미관을 고려하여 교량을 설계하는 경우가 다수 있으나 건설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일 수도 있다.
- 상부구조 형식선정 과정에서는 구조 안정성, 기능성, 시공성, 경제성, 유지관리편의성, 경관등 개별 요소와 이에 대한 가중치를 반영하여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.
② 교량의 상부구조 형식 선정 시 단계별 검토사항
- 관련법령, 설계기준검토 : 설계하중, 도로의 폭원
- 도로의 선형검토
- 교량의 평면 형상 검토 : 교량의 폭원, 곡선교, 사교에 대한 검토
- 교량의 시종점 및 교량길이 검토
- 다리밑 공간 결정 : 도로 및 철도 횡단, 하천 횡단
- 교량의 경간분할 검토 및 결정
- 적용가능한 교량형식 비교 검토
③ 걍교
- 강교의 형식은 가설조건, 수송조건, 환경조건, 장래 유지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선정하여아한다.
- 비틀림 강성이 작은 플레이트 거더의 선정에 있어서 사각 30도 정도 이하에서는 비합성 보로 하는 것이 적합
- 트러스교는 직교에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- 형식선정 시 가설공법, 가설기계능력에 대해서도 검토해야 한다.
③기초형식의 선정
- 기초형식은 지반의 조건에 따라 결정되나 지질조건, 수심, 유속, 하부구조형식 등을 선정과정에 고려한다.
- 기초 구조형식은 상부구조조건, 지반조건, 시공조건 등을 충분히 조사, 검토하여 가장 안전하고 경제적인 형식으로 하여아한다.
- 하나의 기초 구조에서는 다른 종류의 형식을 병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
최근댓글